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국민연금에 대해 알고 계실텐데, 4대 보험 중 하나이기 때문에 평범한 직장인이라면 대부분 꾸준한 납부가 이루어지고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직접 가입하여 납부하는 경우 보다는 자연스럽게 납부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중요성에 대해 모르거나, 얼마나 납부가 이루어졌고 얼마를 수령하게 되는지 정확하게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조회하는 방법과 수령나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제도란?
정부에서 직접 운용하고 있는 제도로서, 국민의 소득에서 일부를 꾸준히 납부하고 나이가 들어 더이상 소득활동을 벌일 수 없거나, 사망하게 되면 그 유족에게 연금으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공적인 연금으로서 의무 가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고로 지급하는 만큼 사기업 연금과 달리 영업이익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국민연금공단에서는 납부된 연금들을 효율적으로 지급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투자를 활용하여 운용하고 있습니다.
납부액 조회 방법
지금까지 얼마를 납부하였는지 확인하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조회를 해보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NPS 홈페이지 접속
- 자주 찾는 민원 서비스 클릭
- 내 연금 알아보기
- 공동인증서 가입
- 납부내역 조회 및 예상연금액 조회 클릭
수령나이
출생연도 | 나이 |
1952년 | 만 60세 |
1953년 ~ 1956년 | 만 61세 |
1957년 ~ 1960년 | 만 62세 |
1961년 ~ 1964년 | 만 63세 |
1965년 ~ 1968년 | 만 64세 |
1969년 ~ | 만 65세 |
과거에는 1952년생의 경우 만 60세 이상부터 연금 수령 나이에 해당하였지만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만 65세부터 수령할 수 있도록 조정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기준이 다르다는 점을 참고하시면 되겠는데요. 1969년생 이후부터는 만 65세부터 수령이 가능하지만, 1952년 ~ 1968년생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위 표에 적인 수령 나이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
그렇다면 해당 나이가 되었을 때 얼마를 수령할 수 있을지 예상수령액을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PS 홈페이지에 접속하시면 재무설계 카테고리를 눌러 국민연금 알아보기로 들어간 후, 좌측에 있는 예상연금 모의계산을 눌러주시면 수령액을 조회하는 항목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기본정보, 소득정보, 크레딧 대상을 전부 입력한 후 결과보기를 누르면 간편하게 조회가 되는데요. 개인마다 소득이 다르고 소득에 따라 납부하는 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공식 홈페이지에서 자신이 납부한 바를 정확하게 입력하여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조회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금 지급기준 및 계산방법 총정리 (0) | 2021.08.18 |
---|---|
신용카드 추천, 혜택 비교 총정리! (1) | 2021.08.17 |
주택청약 1순위 조건 및 특별공급 확인하기 (1) | 2021.08.10 |
삼쩜삼 환급 후기, 수수료 및 미수령 환급금 조회 방법 (0) | 2021.08.03 |
주식 per pbr 뜻, 주가수익비율 보는 방법 (0) | 2021.07.31 |
댓글